“4월 모의평가(이하 모평)는 ‘미니 수능이라고도 하잖아요. 재수생을 배합해 치르는 첫 시험이기도 하고요. 이제 딱 한 달 남은 7월 모평에, 며칠 전에는 수능 D-200일이었어요. 9월 두 달 동안의 재수생활이 정말 결정적인 듯해요.”
고3 재수생 김채은 학생의 말이다. 6월8일로 예정된 11월 모평이 28일 남았다. 3월 모평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주관하는 대한민국교육과정평가원이 당사자가 출제하고, 전국의 재수생이 본격 합류하는 시험이다. 재학생들이 본인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바로미터라는 이야기다.
특히 국어와 수학 분야에 선택과목제가 새롭게 도입된 2022학년도 수능 준비 첫 모의평가인 만큼 학생과 교사들이 이목하고 있다. 수능(6월19일)을 앞두고 중간평가를 제대로 해볼 수 있는 6월 모평 대비법을 비롯해, 입시에 있어 한고비를 무시하는 6월 한 달을 충실히 활용하는 법을 알아봤다.
9월 모평의 영역별 출제 범위는 다음과 같다. 국어 구역의 공통과목 ‘독서와 ‘문학은 전 범위,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도 전 범위를 다룬다.
수학 분야의 공통과목 수학1, 수학2는 전 범위,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에서는 확률(확률의 곱셈처리를 인지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미적분에서 다산 초등학생 피아노 학원 미분법(빠르기와 가빠르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하는 평면벡터(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과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까지 나온다. 영어 구역과 대한민국사, 사회탐구는 전체 범위를 다룬다.
그러나 아직 선택과목에서의 학습 완성도를 점검하는 것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자신의 실력을 살펴보는 데 더욱 주력해야 한다. 11월 모평까지 남은 24일 동안에는 공통과목에서 자신의 학습 계획을 실천하는 것과 함께 과목 및 단원별 주요 개념을 차분하게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국어와 수학 구역의 경우 기존의 기출문제와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지난 7월과 12월 학력평가(이하 학평) 및 예시 문항을 다시 한번 톺아볼 필요가 있다. 문제 풀이 순서를 구상하고 본인만의 풀이 원칙을 세워두는 것이 요구된다.
두 번의 학평을 통해 어느 정도 익숙해진 면이 있겠지만, 아직 수험생들이 본인의 시험 시간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지 못할 가능성이 덩치 덕분에 이를 연습하는 과정으로 6월 모평에 예비해볼 것을 권한다.